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고용노동부 실업급여 모의계산 5분 컷! 신청 전 꼭 확인할 계산 절차 총정리

by 모두의레크 2025. 7. 4.
반응형
목차
    실업급여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? 고용노동부 실업급여 모의계산기 사용법부터 평균임금 계산, 소정급여일수 확인까지 신청 전 알아야 할 모든 절차를 쉽게 정리했습니다.

    1. 실업급여는 어떻게 계산되나요?

    실업급여는 간단히 말해 “하루 지급액 × 지급일수” 구조입니다.

    항목 설명
    하루 지급액(구직급여일액) 평균임금의 60%
    지급일수(소정급여일수) 고용보험 가입기간과 연령에 따라 결정
    총 수령액 하루 지급액 × 지급일수

    ✅ 예시 계산

    • 평균임금: 108,000원
    • 구직급여일액: 108,000 × 60% = 64,800원
    • 소정급여일수: 120일
    • 총 수령액: 약 777만 6천 원

    2. 고용노동부 실업급여 모의계산기 이용 방법

    회원가입 없이 누구나 바로 이용 가능합니다.

    👉 고용노동부 실업급여 모의계산기 바로가기

    ✅ 입력 항목

    • 연령 (만 나이 기준)
    • 고용보험 가입기간 (개월 단위)
    • 퇴사사유 (비자발적/자발적)
    • 최근 3개월 급여 총액 (세전)
    • 최근 3개월 출근 일수 (달력일수 기준)

    ✅ 확인 가능한 결과

    • 예상 구직급여일액
    • 예상 소정급여일수
    • 예상 총 수령액
    • 하한액/상한액 자동 반영

    3. 평균임금 계산은 이렇게!

   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  평균임금 = 이직 전 3개월 임금 총액 ÷ 총 달력일수

    ✅ 예시

    • 급여 총합: 9,000,000원
    • 달력일수: 92일
    • 평균임금: 약 97,826원
    • 구직급여일액: 97,826 × 60% = 약 58,696원

    ※ 실업급여 하한·상한 기준 (2025년)

    • 하한액: 77,120원
    • 상한액: 77,000원 (※ 60% 적용 시 상한 초과 시 조정)

    4. 소정급여일수는 어떻게 정해지나요?

    연령과 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라 지급일수가 달라집니다.

    가입기간 50세 미만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
    6개월 ~ 1년 미만 120일 120일
    1년 ~ 3년 미만 150일 180일
    3년 ~ 5년 미만 180일 210일
    5년 ~ 10년 미만 210일 240일
    10년 이상 240일 270일

    5. 모의계산 후 유의할 점

    • 실제 지급액은 고용센터 최종 심사 후 확정
    • 자진퇴사자는 원칙상 수급 불가 (예외 사유는 고용센터 심사)
    • 모의계산은 참고용! 실제 수급은 구직신청, 교육, 실업인정 등 절차 필수

    결론: 실업급여, 받기 전 미리 계산해보세요!

    • 총 수령액, 일일 지급액, 지급일수 모두 예측 가능
    • 평균임금은 3개월 급여 ÷ 달력일수로 산정
    • 모의계산은 무료! 고용노동부 공식 제공
    • 정확한 수급 조건은 고용센터 심사로 최종 결정

    예상 금액을 미리 확인해두면 신청 준비도 훨씬 수월해집니다. 실업급여는 권리이자 재도약의 발판입니다💪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