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목차
일용직도 고용보험 가입된다? 고용보험 일용근로내역서 발급 및 조회 방법부터 모바일과 PC 차이, 근로내용확인신고까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1. 일용근로자도 고용보험 가입되나요?
👉 네! 단, 조건부 가입입니다.
일용근로자는 상용직처럼 4대보험 취득신고 대상은 아니지만, 사업주가 ‘근로내용확인신고’를 하면 고용보험 가입 적용이 됩니다.
구분 | 가입 가능 여부 |
---|---|
고용보험 | O (근로내용확인신고 시 자동 적용) |
산재보험 | O (자동 적용) |
국민연금 | X |
건강보험 | X |
📌 근로자가 직접 신고는 불가하고, 사업주가 신고해야 적용됩니다.
2. 고용보험 일용근로내역서란?
일용근로자가 고용보험에 가입돼 있었던 기간, 지급임금, 사업장 등을 공식적으로 확인해주는 서류입니다.
- 구직급여 신청
- 정부 지원금·보조금 신청
- 학교 장학금 제출
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.
3. 일용근로내역서 조회·발급 방법
📱 모바일 (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앱)
- STEP 1: 앱 설치 후 공동인증서 로그인
- STEP 2: [보험료 조회/증명] 메뉴 클릭
- STEP 3: [일용근로내역서] 조회
- STEP 4: 캡처 또는 PDF 저장 가능 (단, 정식 출력문서로는 부적합)
💻 PC (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웹)
- STEP 1: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접속
- STEP 2: 공인인증서 로그인
- STEP 3: 민원서비스 → 보험료 조회/증명
- STEP 4: [일용근로내역서] 선택 후 조회
- STEP 5: 출력 또는 PDF 저장 가능 (공문서로 인정됨)
✅ 정식 제출용은 PC로 출력해야 유효!
4. 근로내용확인신고 언제 되는 거예요?
✔ 매달 15일까지 ‘전월 근로내역’ 신고 의무가 있습니다.
근로 월 | 신고 마감일 |
---|---|
7월 | 8월 15일 |
8월 | 9월 15일 |
9월 | 10월 15일 |
📌 사업주가 신고를 누락하면 고용보험도 적용 안 되고, 내역서 조회도 불가능!
5. 조회해봤는데 내역이 없어요!
📍 이런 경우, 대부분 아래 이유 중 하나입니다:
- 사업주가 근로내용확인신고를 누락한 경우
- 근무기간이 짧아 신고 의무 대상이 아닌 경우
- 산재보험은 가입됐지만 고용보험은 빠진 경우
👉 사업장에 확인 먼저! 필요 시 근로복지공단 고객센터 1588-0075로 문의
결론: 일용직도 고용보험 내역, 꼭 챙겨봐야 손해 없쥬~?
- ✅ 일용직도 고용보험 가입 가능 (단, 사업주 신고 필수)
- ✅ 일용근로내역서 = 공식 증빙 서류
- ✅ 모바일보다 PC에서 출력해야 제출 가능
- ✅ 신고 마감일은 매월 15일까지, 내역 확인 꼭 필요
구직급여나 각종 증빙이 필요할 때, 미리 발급해두면 정말 유용합니다!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