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목차
주휴수당은 일주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결근 없이 일했다면 반드시 지급받아야 할 권리입니다. 계산법부터 조건, 지급 시기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.
✅ 주휴수당 지급 조건 3가지
정규직, 계약직, 아르바이트 여부와 상관없이 아래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주휴수당 지급 대상입니다.
- 1주 15시간 이상 근무
- 소정근로일을 모두 출근했을 것
- 1주 단위 반복되는 계약 구조 (고용관계 지속성)
📌 예외: 단발성 근무나 1회성 알바는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✅ 주휴수당 계산 방법
주휴수당 = 시급 × 1일 소정근로시간
🔸 예시 1
- 시급: 9,860원
- 근무: 하루 5시간 × 주 5일
- 주휴수당 = 9,860 × 5 = 49,300원
🔸 예시 2
- 시급: 11,000원
- 근무: 하루 8시간 × 주 3일 → 총 24시간
- 주휴수당 = 11,000 × 8 = 88,000원
✅ 주휴수당 계산기 활용
아래 플랫폼에서 무료 계산기 사용 가능:
- 네이버
-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
- 알바몬, 알바천국
입력 항목: 시급 / 하루 근무시간 / 주간 근무일수 → 자동 계산
✅ 주휴수당 지급일 및 주의사항
구분 | 내용 |
---|---|
지급시기 | 통상 급여일에 포함 지급 |
지급 거부 시 | 근로기준법 위반 → 진정 가능 |
계산시 주의 | 주휴일은 유급휴일로 소정근로시간만큼 계산 |
퇴사 주 지급 | 조건 충족 시 퇴사 직전 주에도 지급 |
💡 급여명세서 확인 필수! 주휴수당 누락 많습니다.
✅ 자주 묻는 질문
- Q. 주 14시간 근무자는?
→ 주휴수당 불가, 최소 15시간 이상 근로 조건 필요 - Q. 일한 지 4일 만에 퇴사?
→ 주휴수당 없음, ‘1주 단위 고용계약’이 기본 전제 - Q. 시급에 주휴수당 포함이라는데?
→ 근로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았다면 무효, 별도 지급 필요
정리
- 주 15시간 이상 근무 + 결근 없이 일하면 무조건 지급
- 계산법은 시급 × 1일 근로시간
- 매월 직접 계산 후 급여명세서 확인 습관이 중요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