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알바 주휴수당 계산기 및 조건 완벽 정리 / 알바주휴수당, 만근, 수당

by 모두의레크 2025. 7. 5.
반응형
목차

     

    주휴수당은 일주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결근 없이 일했다면 반드시 지급받아야 할 권리입니다. 계산법부터 조건, 지급 시기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.

   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 및 조건 완벽 정리 / 알바주휴수당, 만근, 수당
   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 및 조건 완벽 정리 / 알바주휴수당, 만근, 수당

    ✅ 주휴수당 지급 조건 3가지

    정규직, 계약직, 아르바이트 여부와 상관없이 아래 3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주휴수당 지급 대상입니다.

    1. 1주 15시간 이상 근무
    2. 소정근로일을 모두 출근했을 것
    3. 1주 단위 반복되는 계약 구조 (고용관계 지속성)

    📌 예외: 단발성 근무나 1회성 알바는 대상에서 제외됩니다.


    ✅ 주휴수당 계산 방법

    주휴수당 = 시급 × 1일 소정근로시간

    🔸 예시 1

    • 시급: 9,860원
    • 근무: 하루 5시간 × 주 5일
    • 주휴수당 = 9,860 × 5 = 49,300원

    🔸 예시 2

    • 시급: 11,000원
    • 근무: 하루 8시간 × 주 3일 → 총 24시간
    • 주휴수당 = 11,000 × 8 = 88,000원

    ✅ 주휴수당 계산기 활용

    아래 플랫폼에서 무료 계산기 사용 가능:

    • 네이버
    • 고용노동부 공식 홈페이지
    • 알바몬, 알바천국

    입력 항목: 시급 / 하루 근무시간 / 주간 근무일수 → 자동 계산


    ✅ 주휴수당 지급일 및 주의사항

    구분 내용
    지급시기 통상 급여일에 포함 지급
    지급 거부 시 근로기준법 위반 → 진정 가능
    계산시 주의 주휴일은 유급휴일로 소정근로시간만큼 계산
    퇴사 주 지급 조건 충족 시 퇴사 직전 주에도 지급

    💡 급여명세서 확인 필수! 주휴수당 누락 많습니다.


    ✅ 자주 묻는 질문

    • Q. 주 14시간 근무자는?
      주휴수당 불가, 최소 15시간 이상 근로 조건 필요
    • Q. 일한 지 4일 만에 퇴사?
      주휴수당 없음, ‘1주 단위 고용계약’이 기본 전제
    • Q. 시급에 주휴수당 포함이라는데?
      근로계약서에 명시되지 않았다면 무효, 별도 지급 필요

    정리

    • 주 15시간 이상 근무 + 결근 없이 일하면 무조건 지급
    • 계산법은 시급 × 1일 근로시간
    • 매월 직접 계산 후 급여명세서 확인 습관이 중요

     

    반응형